본문 바로가기
건강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원인과 증상, 예방 및 치료방법

by health source 2023. 4. 16.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발 뒤꿈치에서 통증이 발생하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원인

발바닥에는 발뒤꿈치 뼈에서 발가락의 뿌리까지 강인한 섬유질 조직인 힘줄이 막처럼 퍼져 있는데 이를 발바닥 건막이라 합니다.

발바닥 건막은 발바닥의 아치 모양을 유지하고, 보행이나 달리기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발바닥 건막의 기능이 악화되면 발바닥이 땅에 착지할 때의 충격 흡수나 걷어내는 힘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달릴 때나 걸을 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러닝이나 점프 동작 등으로 하중에 의한 충격(압박력)과 강하게 당기는 힘(견인력)이 반복되면, 발바닥 건막에 큰 부하가 집중되어, 작은 단열이나 염증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족저근막염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포츠에 의한 과도한 사용을 비롯하여, 장시간의 보행이나 서서 일하는 상황, 맞지 않는 신발 착용, 단단한 지면에서의 운동, 발의 근력 부족이나 유연성의 저하, 발 형태의 변형(편평발이나 무지외반증) 등이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기 쉬운 사람은 육상 경기나 축구, 배구, 농구 등, 러닝이나 점프 등의 지면을 밟는 동작이 많은 스포츠를 하는 사람입니다.

 

딱딱한 지상과 아스팔트에서 운동이나 훈련을 하거나, 장시간 서서 일하고, 종아리 근육과 아킬레스건의 유연성과 다리의 근력이 떨어지는 사람입니다.


또한 편평족인 사람이나 발바닥의 아치 형태가 높고, 체중이 증가하여 발뒤꿈치에 부담을 주는 사람과 비만이거나, 쿠션이 좋지 않거나 사이즈가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는 사람 등 입니다.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증상

족저근막염은 발의 아치 구조를 지원하는 발바닥 건막에 염증이 생기고 작은 단열을 반복하는 상태입니다.

발뒤꿈치와 발바닥이 땅에 닿았을 때 발바닥 건막이 늘어지며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족저근막염이 발병하면 아침에 일어나서 첫걸음을 걸을 때 심하게 통증을 느끼게 되고, 휴식 후 갑자기 걸을 때 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족저근막염 만성화가 진행되면 발뒤꿈치의 뼈에 뼈 가시라고 불리는 가시와 같은 돌기가 생겨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예방 방법

족저근막염은 생활습관의 주의와 대책을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1. 과도한 운동량 제어
과도한 스포츠로 인한 발바닥 견막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연습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감독이나 코치와 상담을 통해 훈련의 양보다 질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이미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느껴진다면 통증이 완화될 때까지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2. 다리 근육과 유연성 향상
발의 근력과 유연성이 감소하면 발바닥 건막에 강한 견인력이 발생하여 염증을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의 스트레칭과 훈련을 통해 근력과 유연성이 향상되도록 합니다.

 


3. 쿠션이 있는 신발 착용
발뒤꿈치가 너무 얇은 신발은 발이 바닥에 닿을 때 충격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이 뛰어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평발이나 하이 아치 등의 아치에 변형이 있는 사람은 안 깔창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발바닥 테이핑
발바닥의 아치 구조가 무너지면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발바닥 건막염이 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핑으로 아치를 만들어 쿠션 기능을 지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발 뒤꿈치 통증) 치료 방법

1. 보존 요법
족저근막염 치료는 약이나 물리치료로 통증을 억제하는 치료가 기본이며, 휴식을 취해서 증상이 진정될 때까지 오랫동안 서 있는 것과 발병의 원인이 된 행동 및 스포츠를 중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칭이나 근육 트레이닝 등의 물리치료사를 통한 보존 치료는 스테로이드 주사와 같은 즉효성은 없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치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본인의 증상 및 발병 원인을 검토하여 보존 요법을 실시하며, 필요시 테이핑 등을 통해 환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전기요법이나 초음파 치료 등의 물리요법도 병행하면 효과가 좋을 수 있습니다.

 

 

2. 약물 요법
이미 염증이 발생한 경우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록소닌 등)나 습포를 하는 것으로 염증을 억제해 증상을 개선합니다.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장비요법
시중에 판매 중인, 족저근막염 치료용 장비나, 맞춤 제작을 통해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깔창을 사용하여 발바닥 아치 형태를 기능적, 해부적으로 보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발바닥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합니다.

 


4. 주사
1) 스테로이드 주사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통증이 심할 경우나 위의 치료를 통해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때 스테로이드 주사를 실시합니다.


통증이 부위에 치료 약을 주사하면 약 1~2개월은 증상이 개선되지만, 통증이 재발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주사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므로, 근본 원인을 재활치료를 병행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목표로 합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를 반복하면 조직이 부서지거나 장기적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식염수 주사
발바닥 건막염으로 인한 증상과 함께 발바닥 통증이 신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통증 발생 부위의 신경 주위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염증을 씻어내고 박리합니다.


주변 조직의 염증을 박리하여 신경의 활주를 촉진하며, 활주 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재활을 실시합니다.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 통증) 원인과 증상, 예방 및 치료 방법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 통증) 원인과 증상, 예방 및 치료 방법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 통증)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여성에게 발병하며,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무지외반증 원인과 증상 1. 외적 원인

remindgoals.com

통풍 원인과 증상, 예방 및 치료방법

 

통풍 원인과 증상, 예방 및 치료방법

통풍 원인과 증상 통해 일상생활에서 예방 및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통풍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올 수 있는 질병이므로,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 통풍 원인과 증상 통풍이란 어느 날 갑

remindgoals.com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원인과 증상, 치료법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원인과 증상, 치료법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이 발병하는 원인과 증상,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축구나 농구, 테니스 등의 스포츠 인구가 늘어나면서, 무릎과 어깨, 손목 관절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젊은 층이 증

remindgoals.com

무릎 통증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무릎 통증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무릎 통증 원인을 확인하여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일상생활에서 무릎 통증을 예방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릎 통증 원인

remindgoals.com

 

댓글